![](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bAyG/btqPyraUNha/eutlqqaUgZw3CyXdN5Qep1/img.png)
의료기술직 공무원의 채용 직류는 임상병리, 방사선, 물리치료, 치과위생, 의무기록, 작업치료, 임상심리가 있고 각 직류에 맞는 면허를 소지해야만 응시가 가능한 시험입니다. 의료기술직 물리치료에 응시하시려면 물리치료사 면허가 있어야만 응시가 가능합니다. 이렇게 해당하는 면허를 소지해야 하기 때문에 경쟁률이 낮은 편인데요. 채용 직류가 여러 개인 만큼 자신이 응시할 지역에 원하는 직류의 채용이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의료기술직은 직류가 많고 채용인원도 적어 응시가 가능한 지역을 최대한 많이 만들어두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2021년부터는 시험일이 같은 경우에는 중복 접수가 안되지만 의료기술직 공무원은 지역마다 시험일이 달라 중복접수가 가능합니다. 거주지 제한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2가지가 있습니다. 현재 주민..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lXE9l/btqOSxCv5sP/pHvdLdvDFDdM3VwRRoF06k/img.png)
환경직 공무원은 공개경쟁시험과 경력경쟁시험의 시험과목이 달라 자신이 응시할 시험을 확실히 고르셔야 합니다. 공개경쟁시험은 국어, 영어, 한국사, 환경공학, 화학 5 과목으로 환경직을 준비한다면 보통 공개경쟁인 경우가 많습니다. 경력경쟁시험은 환경부와 해양경찰청이 해당되는 시험과목은 환경공학, 화학, 환경보건 3과목이고, 경기도 경력경쟁의 시험과목은 환경공학과 화학 2과목입니다. 시험과목도 다른만큼 응시자격도 다르기 때문에 잘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대방열림고시학원의 단계별 문제풀이반이 12월 1일부터 시작되어 많은 수험생분들이 문제풀이를 시작하셨습니다. 2021년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분들이라면 이론을 어느 정도 잡아가고 있을 텐데요. 이론을 대충하고 문제풀이를 한다던가, 바로 문제풀이를 하는 것은 정말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YpBvC/btqOleKadvq/aFd2KmEVosPolZtorEebu1/img.png)
보건직 공무원은 보건소나 시, 군, 구청 등에서 행정업무와 식품·환경위생 검역업무 등을 합니다. 주로 보건 및 의료행정의 종합 계획 수립이나 산업병 예방에 관한 산업 보건 업무, 전염병균의 국내 침입과 국외 전파를 막는 검역업무, 식품위생 업무 등 지역주민의 건강한 삶을 위한 보건 및 위생 관련 행정업무를 담당합니다. 보건직 공무원 시험은 응시자격이 없어 기술직 공무원 중에서 비전공자가 많이 응시하는 시험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경쟁률도 높은 편입니다. 보건직 공무원 합격자의 대부분이 가산점을 소지하고 있어 많은 수험생분들이 가산점을 소지하고 시작합니다. 그래서 가산점이 있다고 해도 다 같은 점수로 시작하면 유리한 것은 없습니다. 하지만 가산점이 없다면 그만큼 불리할 수도 있습니다. 가산점으로 5점을 받고..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o1GTa/btqNBfQ6zfe/vb13F003GKfILUoddIt1NK/img.png)
9급 식품위생직 공무원 시험은 공개경쟁과 경력경쟁 두 가지로 나누어집니다. 그래서 어떤 시험을 봐야 할지 고민하시는 수험생분들이 있어 두 시험을 자세히 비교하고 수험생분들의 고민을 해결해드리려고 합니다. 우선 경력경쟁시험이라고 하면 많은 분들이 경력이 있어야 볼 수 있는 시험이 아닌가? 하는 생가을 하는데요. 전혀 아닙니다! 공개경쟁시험과 경력경쟁시험의 차이점은 시험과목과 응시자격에 있습니다. 응시자격부터 알아보겠습니다. 공개경쟁시험은 응시자격이 없어 거주지 제한만 충족시키면 누구나 응시가 가능합니다. 경력경쟁시험은 지역마다 응시자격이 다른데요. 공통적으로 영양사와 위생사 면허증 소지가 있습니다. 지역에 따라서는 기술사, 기사, 산업기사, 식품산업기사 등이 추가되기도 합니다. 경력경쟁시험의 경우에는 자신..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KfauL/btqNkPKJ9jJ/zarwRRbT1DPjTQyxwFhGe0/img.png)
환경직 공무원 시험은 지방직과 환경부, 해양경찰청 시험으로 나누어집니다. 이 중에 지방직과 환경부를 고민하시는 수험생분들이 있습니다. 환경직 공무원은 전국의 환경 관련 부서에서 관리, 감독, 행정, 예산 등의 업무를 하고 조금 더 전문적인 업무를 하는 곳도 있습니다. 지방직 환경직 공무원은 이름 그대로 지방직으로 자신이 응시한 지역 내에서 일을 합니다. 환경부 환경직 공무원의 경우에는 국가직으로 면 년마다 전국으로 발령받아 일하게 됩니다. 지방직은 한 지역 내에서만 일하고 환경부는 전국으로 돌아가며 일하게 됩니다. 지방직과 환경부의 응시 조건이 달라 자신이 응시할 시험을 정확히 정하셔야 합니다. 지방직은 응시자격 없이 거주지 제한만 충족하신다면 누구나 응시할 수 있습니다. 응시하고자 하는 지역이 현재 주..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SoyNJ/btqMGOFuPu7/fv62Uwc6a4lowQPBEQI860/img.png)
오늘은 2021년도 보건진료직 공무원 합격을 목표로 시작하신 수험생분들을 위해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보건진료직 공무원은 의료 취약지역에 설치되는 보건진료소에서 보건진료소장의 직위를 갖고 지역 주민들에게 기본적인 의료를 제공하는 공무원입니다. 아직 보건진료직 공무원에 대해 잘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장점을 알려드리자면 마을 주민들을 대상으로 하는 1차 진료가 주 업무여서 업무 강도가 높지 않습니다. 또 1인 근무로 업무 외에 사람 관계에 대한 스트레스가 적고, 자신이 주도적으로 보건 사업을 추진하고, 하루의 업무량을 직접 정할 수 있어 다른 공무원에 비해 많이 자유로운 편입니다. 이렇게 장점이 많은 보건진료직 공무원이 되기 위해서는 임용시험을 봐야 하는데 응시 조건이 있습니다. 생각보다 간단한데요. 간호사나..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xWE0v/btqMeGgWo2v/uGsx86rl2w2pNtekPKH880/img.png)
의료기술직 공무원은 전국 지방별 보건소 및 보건부소 등에서 소지한 면허와 관련된 업무를 하는 9급 공무원입니다. 자세한 담당 업무는 자신이 응시하고자 하는 지역 내 보건소 사이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의료기술직 공무원은 시험 응시를 위해서 응시하고자 하는 직류에 해당하는 면허를 소지해야만 응시가 가능합니다. 채용 직류는 임상병리, 방사선, 물리치료, 치과위생, 의무기록, 작업치료, 임상심리가 있으며 임상병리를 응시한다면 임상병리사 면허를 소지해야만 응시하실 수 있습니다. 의료기술직은 지역마다 채용하는 직류도 다르고 지역에 따라 채용이 아예 없는 해도 있어 자신이 응시할 지역에 소지한 면허에 해당하는 직류의 채용이 없을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응시가 가능한 지역을 최대한 만들어두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en4b4u/btqLRjFSKYQ/PUljkPQ3QQbIZMQq5A468k/img.png)
오늘은 보건연구사 시험 대비를 위해 경쟁률과 합격선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우선 보건연구사는 6급 대우를 받는 공무원으로 보건환경연구원에서 보건 관련 기획 및 정책 수립 등의 업무를 담당합니다. 시·도 단위로 기관이 있어 해당 지역을 관할하게 되는데 업무는 크게 식품과 질병으로 나누어지며 각 분야에 맞는 업무를 하게 됩니다. 보건연구사는 보이지 않는 곳에서 시민의 안전에 가장 밀접하게 관련된 분야로 다양한 업무를 합니다. 보건연구사의 응시자격은 6급 대우를 받는 만큼 아무나 응시할 수 없는 시험입니다. 거주지 제한은 기본으로 있고, 관련 학과를 전공하고 관련 분야 석사 학위 이상 소지자로 학교장의 추천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경상북도로 예를 들자면 거주지 제한이 있고, 보건학, 의학, 한의학, 치의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