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bhPai/btqS9ZvfRJH/P917HN5mR7gsRhcURUefn1/img.png)
보건진료직 공무원은 간호직 공무원과 같이 8급으로 채용되며 응시자격으로 간호사 면허 소지까지 같아 어떤 시험을 준비할지 고민하시는 수험생분들이 많습니다. 두 시험이 비슷한 부분이 있지만 담당하게 될 업무는 서로 달라 확실히 알고 비교해본 후 결정하셔야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보건진료직 공무원의 담당 업무를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보건진료직 공무원만의 장점을 보시고 자신에게 맞는 업무일지 확인해보세요! 보건진료직 공무원은 시험 합격 시 보건진료소로 발령받아 보건진료소장으로써의 업무를 하게 됩니다. 보건진료소는 의료취약지역에 설치되기 때문에 예전에는 외진 곳에서 근무를 하고 여건상 출·퇴근이 불가능한 지역이 있어 관사 생활을 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요즘은 지역의 발달로 외진 곳에 있거나 출·퇴근이 어려운 지..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rwSyL/btqSLGCSQhy/mKBSCH3WqaKoepSRbS8370/img.png)
의료기술직 공무원은 채용 직류와 같은 면허 소지를 해야 응시가 가능한 시험입니다. 그래서 자신이 소지한 면허의 채용이 없는 해가 있을 수도 있고 응시하고자 하는 지역에 채용이 없을 수도 있어 응시가 가능한 지역을 최대한 만들어두고 시험 공고가 나오면 자신이 소지한 면허의 채용이 있는 지역을 골라 응시할 수 있습니다. 공무원 시험에서 많은 수험생분들이 여러 지역에 원서접수를 한 후 경쟁률이 낮은 곳을 골라서 시험을 보곤 했었는데요. 중복접수로 결시 인원이 증가하고 예산의 낭비로 인해 2021년부터 같은 날 시행되는 시험의 경우 중복접수가 불가능하게 됐습니다. 거주지 제한을 충족하는 지역이 여러 군데이더라도 같은 날 시행되는 시험에서는 한 지역에만 원서 접수가 되기 때문에 지역 선택을 잘하셔야 하는데요. 의..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gCmeL/btqRL3er8QJ/3xQE60l1xBIuf9Kyr7TUuk/img.png)
올해 코로나로 인해 9급 보건직 공무원의 채용인원이 많이 증가하였습니다. 채용인원이 증가하면서 경쟁률도 많이 낮아졌는데요. 2021년 시험도 인원이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채용인원은 늘고 경쟁률은 낮아졌을 때가 가장 좋은 기회인데요. 시험을 준비하기 전에 시험에 대해 알고 대비를 하셔야 합격에 완벽 대비를 하실 수 있습니다. ◈ 응시자격 9급 보건직 공무원은 응시를 위해 필요한 자격 요건이 없어 누구나 시험 응시가 가능합니다. 다른 직렬의 응시 조건처럼 자격증 소지나 학력, 경력 등이 필요 없어 비전공자가 많이 응시하는 시험이기도 합니다. 응시자격 없이 자신이 응시할 지역의 거주지 제한만 충족하시면 되는데요. 거주지 제한은 현재 주민등록상 주소지로 되어 있는 지역이거나 주소지를 두고 있었던 기간이 총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trN9p/btqRAkOtMBl/mzjUbDbSJugg95cPsorNxk/img.png)
보건연구사는 지역별로 응시 조건부터 시험 과목이 달라 자신이 응시할 지역의 시험 공고문을 꼭 확인해 보셔야 합니다. 보건연구사의 응시조건은 대부분의 지역이 석사학위 이상이지만 학사 이상인 곳도 있는데요. 응시 조건이 학사 이상인 지역은 지역에 따라 21년과 22년에 전부 석사학위로 변경될 예정입니다. 오늘은 2020년도 보건연구사(공중보건) 시험 기준으로 응시 조건과 시험 과목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지역마다 거주지 제한이 있는 곳과 없는 곳이 있어 거주지 제한도 같이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거주지 제한이 없는 지역부터 알아보겠습니다. 지역 응시 자격 시험과목 인천 보건학, 의학, 한의학, 치의학, 수의학, 미생물학(생물학, 유전공학 또는 생명정보학), 생리학 또는 생화학을 전공한 사람으로서 해당 분야 석사..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9VFfD/btqRqcJpWv1/IlVjlHd1wertbrGOnXuYx0/img.png)
간호직 공무원은 8급으로 채용을 하며 서울시와 지방직이 시험과목부터 담당하게 될 업무까지 다른데요. 서울시의 경우 거주지 제한이 없어 응시자가 많은 편입니다. 서울시가 거주지 제한이 없는 만큼 응시 가능한 지방과 서울시 중 고민을 하는 수험생분들이 많아 확실히 비교하고 선택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간호직 공무원 준비를 하는 수험생분들이 서울시와 지방직을 선택하기 쉽게 확실히 비교해드리겠습니다. 우선 간호직 공무원 시험 응시를 위해서는 서울시와 지방직 모두 간호사나 조산사 면허증을 소지해야만 응시가 가능합니다. 위에서 말했듯이 서울시는 거주지 제한이 없어 서울이 아닌 다른 지역에 거주하셔도 응시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지방직은 있기 때문에 거주지 제한을 면허증 소지 후 거주지 제한에 충족하는 지..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q1awy/btqRav25zUC/8qfj6Rfbwstbnw5ijBjLE1/img.png)
보건직 공무원은 최종 합격 시 보건소나 시, 군, 구청 등의 보건·위생 관련 부서에서 지역주민의 건강한 삶을 위해 보건 및 위생 관련 행정업무를 담당하는 공무원입니다. 보건직 공무원은 지방직과 지방 교육청, 보건복지부로 나누어지는데요. 오늘은 응시자격 없이 비전공자도 응시할 수 있는 지방직을 알아보려고 합니다. 보통 보건직 공무원 시험을 준비한다면 지방직인 경우가 많은 시험으로 가장 많은 수험생들이 준비하는 시험입니다. 최종 합격 시 자신이 응시한 지역 내로 발령받게 됩니다. 지방직은 공개경쟁시험으로 제목에서도 말했듯이 지방직은 응시자격이 없어 누구나 응시가 가능한데요. 공개경쟁시험과 경력경쟁시험은 응시 조건이 있고 시험과목이 달라 잘 확인하셔야 합니다. 공개경쟁시험은 대부분의 지방직과 지방교육청 시험이..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rIfYe/btqQ1MpPCNw/MpGH05xqojayDI35xm6dEk/img.png)
식품위생직 공무원은 지방직과 지방 교육청, 식품의약안전처 3가지로 나누어지며 보통 9급으로 채용을 하는데요. 다른 직렬의 공무원보다 채용 인원이 적고 몇몇 지역을 제외하고는 채용이 꾸준히 있는 편도 아니기 때문에 시험에 대해 확실히 알고 철저한 준비가 필요합니다. 우선 식품위생직 공무원이 하는 일부터 알아야겠죠. 식품위생직 이름만 봐도 알 수 있듯이 식품위생의 관리와 감독을 하게 됩니다. 지방직 공무원은 응시한 지역 내 시, 구청 등의 식품위생 관련 부서에서 근무를 하게 되고, 지방 교육청 공무원은 응시한 지역 내 교육청 또는 관할 교육지원청에서 학교급식위생 관련 부서에서 근무를 하게 되고, 식품의약안전처는 식품의약안전처 또는 그 산하기관에서 근무하게 됩니다. 각 시험에 따라 근무지부터 담당하게 되는 업..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h6i3S/btqPJMFWB5I/G6iKm8omYaA4BEWJrow8k0/img.png)
간호사 면허를 소지한 분들이 많이 응시하는 시험이 보건진료직 공무원과 간호직 공무원입니다. 그래서 둘 중에 어떤 걸 응시해야 할지, 두 시험이 뭐가 다른지 고민하시는 분들이 계실 텐데요. 그래서 오늘은 보건진료직 공무원과 간호직 공무원을 확실히 비교하여 고민을 해결하실 수 있게 도와드리겠습니다! 두 시험 모두 8급에 간호사 면허를 소지해야 응시할 수 있는 시험이라 담당 업무가 비슷할 거라고 생각하시지만 전혀 다릅니다. 근무지부터 담당 업무까지 모두 다른데요. 보건진료직 공무원은 보건진료소에서 보건진료소장의 직위로 1인 근무를 하게 됩니다. 보건진료소는 의료 취약 지역에 설치되고 지역 주민들에게 기본적인 의료를 제공하는 업무를 하게 됩니다. 간호직 공무원은 서울시와 지방직으로 나뉘고 조금 다른 점이 있습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