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환경직 공무원 시험은 지방직과 환경부, 해양경찰청 시험으로 나누어집니다.

이 중에 지방직과 환경부를 고민하시는 수험생분들이 있습니다.

 

환경직 공무원은 전국의 환경 관련 부서에서

관리, 감독, 행정, 예산 등의 업무를 하고

조금 더 전문적인 업무를 하는 곳도 있습니다.

 

지방직 환경직 공무원은 이름 그대로 지방직으로

자신이 응시한 지역 내에서 일을 합니다.

환경부 환경직 공무원의 경우에는 국가직으로

면 년마다 전국으로 발령받아 일하게 됩니다.

 

지방직은 한 지역 내에서만 일하고

환경부는 전국으로 돌아가며 일하게 됩니다.

지방직과 환경부의 응시 조건이 달라 자신이

응시할 시험을 정확히 정하셔야 합니다.

 

지방직은 응시자격 없이 거주지 제한만 충족하신다면

누구나 응시할 수 있습니다.

응시하고자 하는 지역이 현재 주민등록상 주소지로 되어 있거나

주소지를 두고 있었던 기간이 모두 합산하여 3년 이상이면

응시가 가능하게 됩니다.

 

환경부의 경우에는 거주지 제한은 없지만

응시 조건이 있습니다.

응시 조건은 7급과 9급이 서로 다른데요.

위의 표에 있는 자격 요건을 충족해야만 응시가 가능합니다.

환경직 공무원 시험은 공개경쟁시험과 경력경쟁시험이 있습니다.

지방직은 공개경쟁시험에 해당하고

환경부는 경력경쟁시험에 해당합니다.

하지만 경기도의 경우에는 공개경쟁시험과 경력경쟁시험 모두 있습니다.

 

공개경쟁시험의 시험과목은 국어, 영어, 한국사, 환경공학, 화학

5과목을 보게 됩니다.

경력경쟁시험은 환경공학, 화학, 환경보건 3과목을 봅니다.

두 가지 모두 각각의 장·단점이 있어 자신에게

맞는 시험을 잘 찾아야 합니다.

지방직은 적은 인원이라도 매년 채용이 있지만

환경부는 채용인원이 적고 없는 해도 있습니다.

 

또, 환경부는 진급이 빠르지만 지방직은 환경부에 비해서는 느린 편입니다.

이 글을 통해 자신에게 맞는 시험을 찾을 수 있길 바랍니다.

 

최근에 올라온 글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