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호학과를 졸업하셨다면 보통 간호사 면허증 취득 후 바로 임상으로 가는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최근 들어 간호직 공무원 채용인원이 늘면서 간호사 면허증 취득 후 임상으로 가지 않고 간호직 공무원을 준비하는 분들이 늘어나면서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게 있습니다. 응시하기 위해서 경력이 필요한 거 아닌가? 면접에서 불리한 거 아닌가? 라는 생각을 해보셨을 텐데요. 면허증 취득 후 바로 시험 준비를 하면서 임상 경력이 없어 고민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시험 응시에는 경력이 상관없습니다. 경력경쟁시험으로 보는 서울시의 경우 시험 이름이 경력경쟁시험이다 보니까 수험생분들이 경력이 있어야 되는 시험이라고 생각하게 되지만 경력과는 전혀 상관이 없습니다. 간호직 공무원 시험은 간호사나 조산사 면허증만 있다면..

간호직 공무원은 간호사분들이 많이 응시하는 시험으로 응시조건에 간호사 면허 소지가 필수이기 때문에 간호사분들이 더욱 많이 응시합니다. 3교대 근무에 지쳐 공무원을 준비하시는 분들이 많았고 간호학과를 나와 간호사 면허증을 취득 후 바로 임상으로 가는 분들이 많았기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요즘은 간호학과를 나와 임상으로 가지 않고 바로 간호직 공무원을 준비하는 분들이 많아졌습니다. 간호직 공무원은 경력이 필요할 거라고 생각하여 고민하셨다면 지금 바로 시작하세요! 간호직공무원은 경력이 필요하지 않고 간호사 면허만 소지하셨다면 응시가 가능합니다. 간호직 공무원을 준비하기로 마음 먹으셨다면 우선 지역을 선택하셔야 하지만 거주지 제한이 있습니다. 서울을 제외한 모든 지역이 거주지 제한이 있어 자신이 응시 가..

간호직 공무원은 8급으로 채용되며 시험 최종 합격 시 응시한 지역 내에 있는 보건소로 발령받아 간호 사업이나 방문간호 등의 업무를 담당하며 주로 지역주민의 건강한 삶을 위한 간호 관련 업무를 하게 됩니다. 바로 보건소로 발령받는 지방직과 달리 서울시는 서울 시내의 시립병원에서 3년간 3교대 근무를 하고 나서 보건소나 병원에서 일반 업무를 보게 되는데요. 무조건 3년간 임상업무를 해야하는 것은 아닙니다. 보건소나 병원의 TO에 따라 기간이 달라지고 보건소에 인원이 부족하다면 합격 후 바로 보건소로 발령받기도 합니다. 그때그때 다르기 때문에 임상업무를 피하고 싶은 분이라면 서울시가 아닌 지방직으로 응시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지방직으로 응시하기 위해서는 거주지 제한을 충족해야 하는데요. 서울시의 경우에는 거..

간호직 공무원은 8급으로 채용을 하며 서울시와 지방직이 시험과목부터 담당하게 될 업무까지 다른데요. 서울시의 경우 거주지 제한이 없어 응시자가 많은 편입니다. 서울시가 거주지 제한이 없는 만큼 응시 가능한 지방과 서울시 중 고민을 하는 수험생분들이 많아 확실히 비교하고 선택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간호직 공무원 준비를 하는 수험생분들이 서울시와 지방직을 선택하기 쉽게 확실히 비교해드리겠습니다. 우선 간호직 공무원 시험 응시를 위해서는 서울시와 지방직 모두 간호사나 조산사 면허증을 소지해야만 응시가 가능합니다. 위에서 말했듯이 서울시는 거주지 제한이 없어 서울이 아닌 다른 지역에 거주하셔도 응시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지방직은 있기 때문에 거주지 제한을 면허증 소지 후 거주지 제한에 충족하는 지..

간호사 면허를 소지한 분들이 많이 응시하는 시험이 보건진료직 공무원과 간호직 공무원입니다. 그래서 둘 중에 어떤 걸 응시해야 할지, 두 시험이 뭐가 다른지 고민하시는 분들이 계실 텐데요. 그래서 오늘은 보건진료직 공무원과 간호직 공무원을 확실히 비교하여 고민을 해결하실 수 있게 도와드리겠습니다! 두 시험 모두 8급에 간호사 면허를 소지해야 응시할 수 있는 시험이라 담당 업무가 비슷할 거라고 생각하시지만 전혀 다릅니다. 근무지부터 담당 업무까지 모두 다른데요. 보건진료직 공무원은 보건진료소에서 보건진료소장의 직위로 1인 근무를 하게 됩니다. 보건진료소는 의료 취약 지역에 설치되고 지역 주민들에게 기본적인 의료를 제공하는 업무를 하게 됩니다. 간호직 공무원은 서울시와 지방직으로 나뉘고 조금 다른 점이 있습니..

가산점은 공무원 시험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1점밖에 안 되는 가산점이라도 가산점이 있다면 출발선부터 달라지고 1점 차이로 떨어졌다고 생각했을 때 가산점이 있었다면 붙을 수도 있는 상황이 오기도 합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공무원 수험생분들이 가산점을 취득하시는 편인데요. 1점이 별거 아닌 것 같아도 1점 차이로 합격과 불합격이 나눠지기도 하여 가산점 취득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수험생들이 가산점을 취득하여 같은 출발선에서 출발하게 되어 무슨 의미가 있나 싶기도 하고 가산점의 점수가 크지도 않고 준비기간도 오래 걸려 많이 고민을 하시는데요. 간호직 공무원을 준비하시는 수험생분들이라면 이런 걱정을 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간호직 공무원은 컴퓨터 자격증 가산점이 있었지만 2021년부터 폐지되..

8급 간호직 공무원은 채용인원이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지금까지는 경쟁률이 낮아지고 있는데요. 올해 역대급이라고 할 만큼 많은 인원을 채용하여 간호직 공무원에 대해 관심이 없던 분들도 흥미를 느끼고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관심을 보이는 사람이 많아질수록 수험생분들의 경쟁자도 늘어나게 되는 것이기 때문에 남들보다 더 먼저, 더 많이 공부하는 것이 좋은데요. 언제 채용인원이 뚝 떨어질지, 경쟁률이 높아질지 모르기 때문에 빠른 시작이 중요합니다. 우선 시험에 대해 확실히 알고 계시는 게 좋습니다. 간호직 공무원은 8급으로 채용이 되며 지방직과 서울시로 구분되어 채용이 됩니다. 지방직의 경우 보건소로 발령받아 간호 사업 및 방문간호 관련 업무를 하게 됩니다. 서울시의 경우에는 3년간 서울시내 시립병원에서 3..

오늘은 많은 수험생분들이 헷갈려하시는 간호직공무원과 보건직 공무원 두 직렬을 비교해보려고 하는데요. 먼저 두 직렬의 업무를 비교해보겠습니다. ▶ 간호직공무원은 8급으로 채용되며, 주로 보건소로 발령받아 간호사업 및 방문간호 관련 업무를 담당하게 됩니다. 서울시 간호직의 경우에는 임용 후 3년간 서울시내 시립병원에서 3교대 근무를 하게 되고 그 이후 보건소나 병원에서 일반 업무를 보게 됩니다. ▶ 보건직 공무원은 9급으로 채용되며, 보건소 또는 시, 군, 구청 등의 보건·위생 관련 부서에서 지역주민의 건강한 삶을 위하여 보건 및 위생 관련 행정업무를 담당하게 됩니다. 다음으로 두 직렬의 응시 조건을 비교해보겠습니다. ▶ 간호직공무원의 응시 조건은 간호사 면허증입니다. 간호사 면허증 소지자만 응시가 가능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