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간호직 공무원은 8급으로 채용되며 시험 최종 합격 시 응시한 지역 내에 있는 보건소로 발령받아 간호 사업이나 방문간호 등의 업무를 담당하며 주로 지역주민의 건강한 삶을 위한 간호 관련 업무를 하게 됩니다.

 

바로 보건소로 발령받는 지방직과 달리 서울시는 서울 시내의 시립병원에서 3년간 3교대 근무를 하고 나서 보건소나 병원에서 일반 업무를 보게 되는데요. 무조건 3년간 임상업무를 해야하는 것은 아닙니다. 보건소나 병원의 TO에 따라 기간이 달라지고 보건소에 인원이 부족하다면 합격 후 바로 보건소로 발령받기도 합니다.

 

그때그때 다르기 때문에 임상업무를 피하고 싶은 분이라면 서울시가 아닌 지방직으로 응시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지방직으로 응시하기 위해서는 거주지 제한을 충족해야 하는데요. 서울시의 경우에는 거주지 제한이 없어 서울에 거주하거나 3년 이상의 거주 기록이 없어도 응시가 가능합니다.

수험생분들이 간호직 공무원에 많이 물어보시는 것 중 하나가 임상 경력입니다. 간호직 공무원은 응시자격으로 간호사 면허증 소지가 있어 그렇게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간호직 공무원은 경력 상관없이 간호사 면허증만 소지하셨다면 응시가 가능한데요.

 

임상 경력이 있다면 면접에서 답변을 하는 데에 있어 조금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 뿐입니다. 하지만 없다고 해서 면접 시험에서 불리한 것은 없습니다. 자신이 경력이 없다면 경력이 있는 경쟁자보다 뛰어난 점이나 자신에게 부족한 점을 어떻게 보완해 나갈지 등으로 자신을 확실히 어필 할 수 있는 내용을 정리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임상 경력이 있는 분이라면 최종 합격 시 임상 경력이 호봉으로 인정됩니다. 간호직 공무원은 8급으로 시작하여 정년까지 근무할 경우 보통 6급까지 진급이 가능하며 진급이 느린 편입니다.

간호직 공무원은 지방직과 서울시가 시험 과목을 다르게 보는데요. 지방직은 국어, 영어, 한국사, 간호관리, 지역사회간호 5과목, 서울시는 생물, 간호관리, 지역사회간호 3과목을 보게 됩니다.

 

만약 지방직과 서울시 중 고민하고 있는 수험생분들이라면 담당하게 될 업무와 시험과목을 잘 비교하여 잘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지방직은 바로 보건소로 발령을 받지만 5과목을 보게 되고, 서울시는 3과목이지만 임상 업무를 하게 되고 생물의 경우 쉽지 않은 시험이기 때문에 공통과목을 공부하는 시간과 비슷할 수도 있습니다.

간호직 공무원 합격을 원하신다면 간호직 전문 학원의 커리큘럼을 통해 준비하시는 것을 추천드리는데요. 간호직 전문 학원으로 매년 강의를 진행하고 많은 합격자를 배출한 대방열림고시학원으로 시작해보세요~

샘플강의와 합격수기는 아래의 사이트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대방열림고시학원

동영상 강의 수강기간 동안 무한반복 수강이 가능한 믿음직한 동영상 강의

www.yulimgosi.com

 

[진통] 간호직/보건직/의료기술직/환... : 네이버 카페

간호직공무원,보건직공무원,의료기술직,환경직,식품위생직 전문카페.기출문제.시험정보.책임있는 전문운영

cafe.naver.com

 

최근에 올라온 글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