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호직 공무원은 간호사분들이 많이 응시하는 시험으로 응시조건에 간호사 면허 소지가 필수이기 때문에 간호사분들이 더욱 많이 응시합니다. 3교대 근무에 지쳐 공무원을 준비하시는 분들이 많았고 간호학과를 나와 간호사 면허증을 취득 후 바로 임상으로 가는 분들이 많았기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요즘은 간호학과를 나와 임상으로 가지 않고 바로 간호직 공무원을 준비하는 분들이 많아졌습니다. 간호직 공무원은 경력이 필요할 거라고 생각하여 고민하셨다면 지금 바로 시작하세요! 간호직공무원은 경력이 필요하지 않고 간호사 면허만 소지하셨다면 응시가 가능합니다. 간호직 공무원을 준비하기로 마음 먹으셨다면 우선 지역을 선택하셔야 하지만 거주지 제한이 있습니다. 서울을 제외한 모든 지역이 거주지 제한이 있어 자신이 응시 가..

간호직 공무원은 8급으로 채용을 하며 서울시와 지방직이 시험과목부터 담당하게 될 업무까지 다른데요. 서울시의 경우 거주지 제한이 없어 응시자가 많은 편입니다. 서울시가 거주지 제한이 없는 만큼 응시 가능한 지방과 서울시 중 고민을 하는 수험생분들이 많아 확실히 비교하고 선택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간호직 공무원 준비를 하는 수험생분들이 서울시와 지방직을 선택하기 쉽게 확실히 비교해드리겠습니다. 우선 간호직 공무원 시험 응시를 위해서는 서울시와 지방직 모두 간호사나 조산사 면허증을 소지해야만 응시가 가능합니다. 위에서 말했듯이 서울시는 거주지 제한이 없어 서울이 아닌 다른 지역에 거주하셔도 응시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지방직은 있기 때문에 거주지 제한을 면허증 소지 후 거주지 제한에 충족하는 지..

간호직 공무원은 앞으로 채용인원이 늘어날 것이라고 하는데요. 앞으로 있을 시험을 위해 미리미리 계획하고 실천해야 합니다. 우선 간호직 공무원은 간호 관련 업무를 하게 됩니다. 간호직 공무원은 지방직과 서울시로 나뉘게 되는데요. 지방직 공무원은 응시한 지역 내 보건소로 바로 발령받아 일하게 됩니다. 하지만 서울시 공무원은 3년간 서울시내 시립병원에서 3교대로 근무를 하게 되며, 그 이후 보건소나 병원에서 일반 업무를 보게 됩니다. 간호직 공무원은 간호사와는 다르게 정시 출·퇴근이며 안정적인 정년보장과 임상경력을 인정받을 수 있어 간호사 자격증이 있는 분들이 많이 도전하는 직렬입니다. 지방직과 서울시는 시험 과목도 다른데요. 지방직은 국어, 영어, 한국사, 간호관리, 지역사회간호로 5과목을 봅니다. 서울시는..

안녕하세요~ 오늘은 간호직 공무원에 대해 포스팅해보려고 하는데요, 지방직 간호직과 서울시 간호직을 비교해보려고 합니다~ ---------- 지방직 VS 서울시 ---------- ■ 지방직과 서울시 업무 간호직 공무원은 지역주민의 건강한 삶을 위해 간호 관련 업무를 주로 하는 공무원입니다. 지방직 서울시 응시한 지역 내 보건소로 발령 임용 후 3년간 서울시내 시립병원으로 발령 간호 사업 및 방문간호 관련 업무 등을 담당 3교대 근무를 하다가 보건소 또는 병원에서 일반 업무를 보게 됨 ※ 최근에는 찾동이나 돌봄 서비스로 바로 보건소로 발령 나는 경우도 있음 ■ 지방직과 서울시 시험 과목 지방직과 서울시의 가장 큰 차이점은 바로 시험 과목입니다! 지방직 서울시 국어, 영어, 한국사, 간호관리, 지역사회간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