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NexPU/btq2KxHOrWD/nJ8ypQa7ztao7Vpyk2zR2k/img.png)
오늘은 환경연구사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하는데요. 환경연구사에 대한 정보가 많지 않아 수험생분들이 확실한 시험 준비를 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환경연구사는 몇 급 공무원인가요? 」 연구사는 일반직 공무원 중 연구에 대한 업무를 담당하는 연구직 공무원의 직급 중 하나입니다. 일반직 공무원에 포함되어 있지만 일반직 공무원과는 다르게 계급을 구분합니다. 일반직 공무원은 1급부터 9급까지의 계급으로 구분이 되고, 연구직 공무원은 연구사와 연구관 2계급으로만 구분되어 몇 급이라고 정확하게 나오지는 않지만 연구사를 일반 공무원의 직급으로 본다면 6급에 상당하는 직급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환경연구사가 하는 일은 무엇인가요? 」 환경연구사는 응시한 지역에 있는 보건환경연구원으로 발령 받게 되며..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SE66d/btqFHrxTJ1z/PA6ggykpFEOci9kvXMKyx1/img.png)
환경연구사는 공무원 호봉표나 규정에 6급에 준하는 대우를 한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지방직은 지방환경연구사로 해당 지자체에서 근무하며, 국가직은 환경부에서 근무를 합니다. 보통 지자체 근무 시 수돗물에 대한 부분, 상수도 수질 검사로 수돗물이 먹는 물 기준에 만족하는지의 분석 업무를 하며, 이 외에도 여러 가지 환경 관련 업무와 행정 업무를 보게 됩니다. 연구사 중에서도 도 일괄로 채용이 되었거나 연구원, 각종 도 산하 보건환경연구원 등에 채용이 될 경우에는 환경연구사로 채용이 되었어도 대기 파트에서 일을 하게 될 수도 있는데요. 대기 업무과, 먹는 물과, 수계 조사과, 폐기물관리과 등등 다양한 업무를 돌아가며 하게 됩니다. 보통 응시한 지역의 보건환경연구원에 발령받아 업무를 하게 되는데요. 서울시의 경..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QeTsL/btqDQ8y3pvq/ZrG7ABLB92qNvBzVv08ciK/img.png)
안녕하세요~ 오늘은 보건연구사에 대해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석사 학위까지 취득한 후에 일반 9급 보건직 공무원을 하기에는 아쉬운 마음이 크실 텐데요, 보건직 공무원보다 직급이 높으면서 전공까지 살릴 수 있는 게 바로 보건연구사입니다! 보건연구사란? 보건연구사는 응시한 지역 내 보건환경연구원에서 시, 도 단위로 기관이 있어 해당 지역을 관할하게 되며 크게 식품과 질병으로 나뉘게 됩니다. 식품 질병 식품 규격, 첨가제, 성분 검사, 안전성 검사, 의약품 분석 및 검사, 화장품 분석 및 안전성 검사 등 식중독균, 바이러스, 에이즈, SFTS, 황열뎅기열, 항생제 내성균 검사 등 보건연구사 응시조건 1. 관련 분야 석사 학위 이상 소지자 (학교장 추천서 제출) 2. 응시 가능한 전공학과 인정 여부 3. 주민등록..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5euDJ/btqDOHWgo8X/uYltIKTukthkWxGq2A2481/img.png)
오늘은 환경연구사에 대해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환경연구사란? 환경연구사는 시민들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연구 및 기술 개발,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 관련 업무를 합니다! 합격 후에는 주로 응시지역 내 보건환경연구소로 발령받게 됩니다. 서울시의 경우 보건환경연구소 외에도 서울물연구원으로 발령받아 더 안전하고 먹는 물을 위해 연구하게 됩니다~ 환경연구사 응시 조건 1. 관련 분야 석사 학위 이상 소지자 (학교장 추천서 제출) 2. 응시가능한 전공학과 인정여부 3. 거주지 제한 (지역마다 다름) 환경연구사의 응시 조건은 위의 표에 있는 세 가지로 나뉘어집니다. 세가지 모두 지역에 따라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시험 공고문을 잘 확인하셔야 합니다!! 1. '관련 분야 석사 학위 이상 소지자'는 대학(전문대학 제외)..